“이제부터는 민간 충전 사업을 활성화 해야 하는 단계”

김현종 한국자동차환경협회 그린카사업국 전기차사업팀 과장.
김현종 한국자동차환경협회 그린카사업국 전기차사업팀 과장.

“그동안 보조금에 의한 정부 주도의 전기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구축이 이뤄졌다면 이제부터는 민간 충전 사업을 활성화해야 하는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김현종 한국자동차환경협회 그린카사업국 전기차사업팀 과장은 향후 전기차 및 충전 시장 전망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한국자동차환경협회는 대기환경보전법 78조에 따라 2007년 11월 설립됐다.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해 인체 및 환경에 발생하는 위해를 줄여 국민의 건강과 환경보존에 기여하고 회원 상호간 권익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김 과장은 “협회는 수도권 대기오염의 주원인인 노후경유차를 대상으로 배출가스저감장치(DPF·DOC) 부착을 비롯한 저공해 엔진 개조, 경유차 조기 폐차 지원 등 사업을 하고 있다”며 “그린카사업국은 2015년도부터 환경부로부터 공공급속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업무를 위탁받아 실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협회 그린카사업국은 전기차 충전기 유지보수, 이설철거 또는 사후관리, 충전 요금 과금, 전기 안전 관리자 선임, 부대 시설 관리, 충전소 부지 관련 사항 등을 전반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전국에 2896기(환경부 공공 급속충전기)를 운영관리하고 있으며 1700기 정도가 설치중에 있다. 올 하반기 추가 물량까지 더하면 5000기 정도를 운영하게 된다.

특히 협회는 올해부터 환경부 지침 개정으로 급속 충전기 설치 업무와 완속 충전 사업 보조금 지급 업무를 한국환경공단에 다시 넘겼다. 덕분에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운영관리 전문기관으로서 온전히 환경부 공공충전 인프라 운영관리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이외에 지난해부터 수소충전소 보급과 관련해 보조금을 지원하는 민간 보조 사업도 추진 중이다. 일부 지자체 사업을 제외하고 협회가 수소충전소 구축 비용의 50%, 최대 15억원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민간 업체가 자부담하는 형식이다.

김 과장은 “충전소 구축도 물론 중요하지만 앞으로는 노후충전기 개선, 운영관리 고도화, 전문성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며 “현재 24시간 365일 운영하고 있는 콜센터 ‘헬프데스크’를 올해부터는 한층 확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지금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관제센터를 협회 9층에 구축하고 상담원 수도 늘리려고 한다. 기존의 단순 고장 접수뿐 아니라 충전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해놓고 담당자가 상주하도록 해 민원처리 수준을 높일 것”이라며 “누구나 불편없이 공공급속충전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 과장은 “전기차의 경우 매년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지고 있어 신규 유저가 계속 나오고 있다. 그러다보니 항상 충전기 사용 미숙으로 인한 문제들이 발생한다”며 “처음에는 뭐든 생소하다 보니 가장 기본적인 충전소 위치, 충전 방법, 결제 방법 등을 물어보시는 분들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환경부 전기차 충전소 지킴이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라며 “올해는 3월에 업체 선정 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려고 한다. 전년 대비 2배 규모인 인원 300명, 기간 9개월로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공공시설을 파손하지 않고 아껴 다뤄주셨으면 좋겠다. 한 달에 1번꼴로 월 1회 이상 모든 충전기를 점검한다. 긴급 출동건이 있으면 정기점검 외에 여러번 가기도 하는데 전기차 충전 및 공공시설 사용에 대한 의식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김 과장은 “비교적 긴 주행거리의 전기차가 출시되면서 고용량 초고속 충전기에 대한 수요가 많은 상황인데 현재는 한전의 전기요금 기본료, 전기 안전 관리 비용 등으로 구축과 운영에 걸림돌이 있다”면서도 “추후 기술 발전과 함께 제도 개선을 통해 충전 여건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면서 “협회는 앞으로 양질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김 과장은 전기차 충전 사업을 염두에 둔 이들에게 “전기차가 대세다 보니 관련 문의 전화가 상당히 많이 온다”며 “일단은 전기신사업자가 기본 요건이고 지능형전력망 사업자(전기차충전 분야) 등록이 필수사항이다. 그래야 충전 사업자로서 과금을 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다만 “현재는 충전요금이 높지 않아 이를 통한 수익성이 낮은 편”이라며 “충전이 주수익이 아닌 카페, 편의점, 음식점 등 다른 사업과 연계하면 비즈니스 모델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