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배 의원(제공: 연합뉴스)
이종배 의원(제공: 연합뉴스)

겨울철에는 전기히터, 전기장판 등 전열 기구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화재사고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종배 의원(자유한국당·충북 충주시)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전기화재사고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5~2019년 5년간 총 4만729건의 전기화재사고가 발생해 240명이 사망하고 1466명이 다쳤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화재사고(21만4465건) 중 19%에 해당한다.

연도별로 각각 2015년 7760건에 300명, 2016년 7563건에 328명, 2017년 8011건에 217명, 2018년 9,240건에 52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8155건이 발생해 336명이 죽거나 다쳤다.

사고원인별로는 절연 열화에 의한 단락이 1만51건으로 전체의 24.7%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미확인 단락 1만5건(24.6%), 먼지·습도로 인한 도전화 등 트래킹에 의한 단락 4612건(11.3%), 과부하·과전류 3992건(9.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절연 열화는 전기설비의 재질이나 기구 등의 전기 전달을 막아주는 절연재료가 노후 또는 성능이 저하돼 서로 다른 이극(異極)의 도체가 맞닿아 발생하는 현상이다. 도전화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성질이 변해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되는 현상이다.

발생 장소별로는 가정에서 1만1727건이 발생해 전체의 28.8%를 차지했고 공장 등 산업시설에서 7840건(19.2%), 음식점·상점 등 생활서비스시설에서 6770건(16.6%), 가로등·전봇대·도로 등 기타 시설에서 4214건(10.3%), 공공기관·숙박업소 등 판매·업무시설에서 4038건(9.9%)이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만502건(25.8%)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6138건(15%), 경남 3134건(7.7%), 부산 2413건(5.9%), 경북 2329건(5.7%), 전남 2217건(5.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충북에서는 1206건(3.9%)이 발생했다.

이종배 의원은 “전기화재는 자칫 대형화재로 이어지기도 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시설 내 전기설비에 대한 정기점검을 강화하는 등 사고 예방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