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로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교육을

김성일 국민대학교 산학협력교수가 '디지털도서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성일 국민대학교 산학협력교수가 '디지털도서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일정 이상 규모가 있는 대학교 가운데는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들이 있다.

정부의 받으며 창업을 지원하고 여기에 필요한 연구를 진행하는 게 프로그램의 주된 목적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원천 기술들이 개발되고, 여기에서 나온 지식재산권을 사업화하는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한다. 교수나 학생들이 고안한 발명 특허를 기술이전 하거나 교수 또는 학생이 창업할 때 기술을 담보로 엔젤투자 형식의 지원을 펼치는 것이다.

ICT 문화-융합랩에 참가한 ‘㈜국민대학교기술지주’ 또한 이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국민대학교기술지주는 이번 ICT 문화-융합랩에서 ‘라즈베리 파이’로 문외교육과 코딩, 기초 수학 등을 교육하는 ‘디지털 도서관’을 연구 중이다.

라즈베리 파이란 신용카드 크기의 초소형 컴퓨터로 여러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연결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구사할 수 있다.

디지털 도서관에는 전자공학, 소프트웨어, 경영학, 중국어, 미디어 등 여러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실제 수업에서 만나 이룬 팀이 낸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프로젝트란 의미다.

이들은 디지털 도서관을 통해 아프리카의 아이들에게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과거 팀원 중 한 명이 아프리카 탄자니아에 봉사활동을 갔다가 라즈베리 파이로 현지에서 코딩 교육을 한 경험이 토대가 됐기 때문이다.

이들이 디지털 도서관의 매개체로 라즈베리 파이를 택한 이유는 다양하다.

먼저 약 70달러(약8만원) 한 단위의 키트를 만들 수 있어 현실적으로 휴대폰, 노트북, 데스크톱 등을 갖추기 어려운 아프리카의 환경에 적합하다.

또 인터넷망 없이도 5~10명까지 연결 가능하기 때문에 소수 인원 교육에 적합하고, 아이들이 직접 서버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지에 최적화된 기술 관점 우리나라 외교부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가치 차원에서 아프리카로 기술 이전하는 방향이다.

나아가 국민대학교기술지주는 향후 디지털 도서관이 국내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성일 국민대학교 산학협력교수는 “어른들의 경우 코딩에 대해 전혀 모를 텐데 그들에게 어렵게 가르칠 수는 없다”며 “디지털 도서관은 코딩에 대한 기초를 이해하고 가르치는데 레고나 과학상자처럼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대학교기술지주는 이번 ICT 문화-융합랩에서 디지털도서관의 양산 직전단계까지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대로 된 상업화는 내년쯤 이뤄질 것이라는 계산이다.

김 교수는 “학생들이 3~4학년이다 보니 이번 프로젝트로 창업을 할지, 진학할지 고민중인 부분이 있다”며 “시제품 제작을 위한 재정지원과 디바이스 관련 자문 및 홍보 등 학생들이 어려운 부분을 보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