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보급이 늦어지면서 정부의 계획대로 보급 될지 우려가 높다. 정부는 지난 2009년부터 지금까지 4차례에 걸친 중장기 AMI 구축계획을 발표하며 2020년까지 2250만호 AMI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계획대로 진행은 안됐다.

조배숙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5년~2019년 8월) AMI는 2015년 65만호, 2016년 80만호, 2017년 190만호, 2018년 190만호, 2019년 8월까지 37만호로 누적 총 737만호에 보급됐다.

이는 정부가 제3차 중장기 AMI 구축계획에서 제시한 ‘2020년도까지 2250만호 보급’ 목표의 30% 수준에 불과하다. 지역별로는 경기 84만호, 부산울산 72.1만호, 대전충남 63.5만호, 서울 60.5만호 순으로 많이 보급됐고, 강원 34.8만호, 충북 32.5만호, 전북 30.6만호, 경북 24.7만호로 지역별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AMI보급이 돼야 정확한 전력사용량 계량을 통해 선택요금제도 도입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할 수 있지만 보급이 늦어지면서 서비스도 지연되는 상황이다. 한전이 보급을 인위적으로 늦춘 것은 아니다. 국산 PLC 통신방식을 도입하면서 업체 간 특허권 분쟁으로 인해 사업이 한 번 지연됐다. 보안문제도 걸림돌이 됐다. AMI구축사업을 하기 위해선 정보기관의 보안성 검토를 받아야 한다. 이는 지능형 전력망 정보보호 지침에 따른 것이다. 초창기에는 보안성 검토를 받아야 하는 설비가 없다 보니 단계적으로 보안성을 적용했다. 처음에는 서버에서 DCU, 다음은 통신모뎀, 마지막으로 전력량계 순으로 진행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전에서 자체적으로 암호화 모듈을 개발했다. 소프트웨어 방식(2016년 보안인증)·하드웨어 방식(2017년 보안인증)으로 개발됐는데, 한전은 업체들에 암호모듈 기술을 제공하고 제품을 제작했다. 정보기관에서 AMI보안성 검토가 길어지면서 사업은 또 지연됐다. 한전은 늦어진 시간을 만회하기 위해 2019년과 2020년 사업을 통합한 구축계획을 수립해 행정소요 기간을 줄이고 모뎀, 데이터집중장치, 케이블 등 다양한 통신자재를 일괄로 공급받아 자재 조달기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또 시공인력도 보강해 기공기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