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급전제도에서 국산 가스터빈 경쟁력 갖기 어려워...제도적 지원 필요
국회에서도 TF 구성, 실증단지 구축 등 제안
정부, 세제지원·면책 등 검토 中

두산중공업 관계자들이 국내 최초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DGT6-300H S1의 초도품을 조립하고 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들이 국내 최초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DGT6-300H S1의 초도품을 조립하고 있다.

발전용 가스터빈 국산화를 목전에 두고 국산 가스터빈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정부와 발전공기업이 역할을 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달 국책과제로 개발하고 있는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DGT6-300H S1의 초도품을 공개하며 가스터빈 국산화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음을 알렸다.

가스터빈 국산화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한국은 현재 4개 국가(미국·일본·독일·이탈리아)만 보유하고 있는 가스터빈 원천기술을 보유하게 된다.

해당 제품은 자체 성능시험을 거쳐 2022년 말 한국서부발전이 준공할 예정인 김포열병합발전소에 설치돼 실증에 돌입한다.

그러나 세계 다섯 번째로 가스터빈 생산국 반열에 올라서더라도 국내·외 시장에서 판매실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

가스터빈 제품의 원활한 판매를 위해서는 발주처가 요구하는 가동실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등가운전시간(EOH) 기준으로 8000EOH 이상의 가동실적이 요구된다.

문제는 각 기업의 최신식 가스터빈이 국내에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 막 개발된 국산 가스터빈이 안정성과 효율성, 가격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액화천연가스(LNG)는 대다수의 발전사가 가스공사를 통해 같은 가격에 공급받기 때문에 발전기 효율이 급전순위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고, 첨두부하 조절용 발전원이기 때문에 기저 전원을 담당하는 석탄·원자력발전과는 달리 급전순위가 발전소 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1% 효율 전쟁’을 벌이고 있는 LNG 발전시장에서 발전사들이 국산 가스터빈을 설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국산화’라는 명분이 아닌, 경제적인 유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4일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정부와 발전공기업이 역할을 해줘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송갑석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서구갑)은 “일본과의 무역분쟁 국면에서 핵심기술·장비에 대한 국산화 문제가 화두”라며 “민·관이 함께 투자해 어려운 기술 국산화에 성공한 만큼 발전공기업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태스크포스를 구성하는 등 미리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산업부와 발전공기업도 국산 가스터빈의 연착륙을 위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일준 한국동서발전 사장은 “국산화 실증에 사용되는 LNG에 대한 세제지원, 실증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면책 등 제도적인 보완에 대해 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히며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발전사들도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김삼화 의원(바른미래당·비례대표)은 노후발전소 대체사업에 국산 가스터빈을 활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분당, 인천, 일산 등 1기 신도시에 있는 노후 LNG복합발전소를 열거하며 “성능개선이나 대체사업을 진행할 때 두산중공업 가스터빈을 설치해 실증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윤요한 산업부 전력산업과장은 “국산 가스터빈 사용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실증과제가 중요하다”며 “발전사와 터빈 제작사가 상생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으며 다각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발전기의 진입·퇴출이 판가름 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앞두고 정부·발전공기업 역할론이 제기되면서 수급계획에서 국산 가스터빈이 차지할 비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