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만으로 전기안전을 끌어가는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

최근 전기안전과 관련된 취재를 하다보면 ‘민간의 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과거 전기안전과 관련된 규제를 통해 전기화재와 정전을 막는데 주력했다면 이제는 민간에서도 스스로 전기안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

사실상 전기안전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얘기다.

맞는 말이다.

공용설비에 대해서는 전기와 소방 등 각 분야의 안전관리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지만 가정집의 안전 문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안전관리자들이 손댈 수 있는 영역의 애로사항은 제도로 해결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영역이 존재한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며 낮 시간에 집을 비우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 관리자들이 제대로 설비를 관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사회가 흉흉하다보니 관리자들을 집 안으로 들이는 데 거부감을 보이는 곳도 적지 않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가정 뿐 아니라 시장 내 오래된 점포 등 다양한 곳에서 이 같은 애로사항이 나타나고 있다. 사실상 규제만으로 해소되기 어려운 영역에 접어들었다.

결국 전기안전에 대해 민간이 신경을 써야 할 시기가 됐다. 낡은 전기설비에 대한 사회의 관심과 행동이 앞으로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의 문턱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에 투자하는 문화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동안 우리가 경제논리를 우선하며 후순위로 미뤄왔던 안전에 대한 투자가 해답이 될 전망이다.

이는 정부의 노력만으로 될 일이 아니다. 이제는 사회가 움직여야 한다.

과거 개그맨 유민상은 ‘마른인간연구 X 파일’라는 개그코너에서 이 같은 명대사를 남겼다.

“국가와 사회가 나서야 할 문제입니다.”

그렇다. 전기안전은 이제 국가와 사회가 ‘함께’ 나서야 할 문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