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집중관리 품목 中 화학 분야 최대 비중…“타국 교역로 물색 가능” 분석도

여수국가산업단지 전경
여수국가산업단지 전경

대한민국을 향한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대상국)’ 제외 방침으로 피해를 받는 업종 가운데 화학 분야가 가장 비중이 클 전망이다.

정부가 전체 일본 수출통제 가능 품목 가운데 10% 수준인 159개 품목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을 정한 가운데 화학 분야는 40여개로 가장 많다.

정부의 보호 정책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예측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광범위한 범위에서 일본과의 교역 차질로 인한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진단할 수도 있다.

이는 일본에서 들여오는 소재를 제외하면 마땅히 대체물을 찾기 어려운 현실이라고도 볼 수 있다.

화학업계는 기초소재 및 ‘스페셜티 케미칼(기능성 화학제품)’ 등을 생산할 때 일본산 원료를 사용한다. 현재 화학제품 가운데 일본 의존도가 높은 품목은 핵심 기초화학 원료인 톨루엔·자일렌 등이다. 지난해 일본 수입 비중은 톨루엔의 경우 79%, 자일렌은 97%에 달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화학공업 또는 연관공업 생산품의 지난해 대일(對日) 수입액은 5억4000만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98.4%에 달한다.

특히 일부 전기차 배터리용 소재는 일본산을 대체할 제품을 찾기 어려워 단기적 충격은 불가피하다는 전언이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배터리 셀을 감싸는 파우치, 양극재와 음극재를 접착시키는 고품질 바인더, 전해액 첨가제 등은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

알루미늄 파우치는 일본의 DNP와 쇼와덴코가 대표적인 생산 업체다. 세계 점유율 70%를 차지한다.

물론 국내에서도 율촌화학이 생산한다. 중국에서도 일부 업체들이 제조한다. 하지만 전기차 배터리용은 당분간 일본산의 대안이 없다는 전언이다.

고품질 바인더도 일본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정부의 강력한 보호책 아래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시선도 있다. 대일(對日) 수입 비중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운송비와 단가가 낮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을 뿐 다른 국가와의 교역도 가능해 일본의 수출규제가 큰 영향을 끼치지는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동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톨루엔·자일렌 등은 범용 제품이라 세계 어디서도 구매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