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원전 수출 난항 예고…IAEA도 사우디에 핵사찰 요구

문재인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겸 부총리가 지난달 26일 오후 청와대에서 회담을 하고 있다. (제공: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겸 부총리가 지난달 26일 오후 청와대에서 회담을 하고 있다. (제공: 연합뉴스)

UAE(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전 정비 계약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수주에 이목이 쏠리는 가운데 우리나라와 사우디 사이에 미국이라는 거대 장벽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사우디 정부의 원전 신규 건설에 관여하면서 ‘123 협정’으로 알려진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체결하기 전에는 한국이 미국의 기술로 자유롭게 원전 건설 계약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사우디 원전 수출 계약으로 향하기까지 또 하나의 관문이 생긴 모양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국 릭 페리(Rick Perry) 에너지부 장관은 사우디의 원전 건설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페리 장관은 “사우디가 미국 기술을 활용한 원자로를 개발하고 싶다면 원자력 시설에 대한 국제적 감시 프로그램에 응해야 한다”며 “사우디 정부가 추가 의정서(Additional Protocol)에 응하지 않을 경우 미국은 사우디와의 원자력 협력 협정을 체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1993 추가 의정서(Additional Protocol)는 IAEA(국제원자력기구)가 사찰이나 다른 수단을 통해 핵 관련 시설의 평화적 사용을 검증하도록 하는 조약이다. 130개 이상 국가가 이에 합의했다. 하지만 사우디는 관련 조치에 반대하고 있다.

사우디는 우라늄 농축·플루토늄 재처리를 포함한 NPT를 거부한 바 있다. 사우디 측은 “핵무기 개발을 원하지는 않지만,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한다면 사우디도 개발하겠다”고 언급했다.

아마노 유키야 IAEA 사무총장도 지난 4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한 자리에서 사우디 정부가 연구용 원자로에 사용될 핵연료를 수입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핵사찰 프로그램과 기타 안전조치에 동의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원자력이라는 틀 안에서 미국을 위시한 국제사회와 사우디가 힘겨루기를 벌이는 양상이다. 필연적으로 사우디에 원전을 수출하려는 우리나라의 계획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한편 26일 문재인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청와대에서 원전 기술 협력 방안 등을 주제로 회담했다. 현재 사우디 원전 수주를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가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다.

한국과 사우디는 회담을 통해 원자력 에너지를 평화적 분야에 이용하는 데 꾸준히 협력해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사우디는 최초의 상용원전 사업의 입찰에 한국이 계속 참여한 것을 환영했다”고 밝혀 기대감을 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