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태양광 보급용량이 600MW를 넘었다.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해 태양광 신규 설치 용량은 2GW를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0일 한국에너지공단은 올해 1분기 재생에너지 신규 보급용량을 공개했다. 전체 재생에너지 신규 보급용량은 701MW로, 이중 태양광은 88%가량인 614.9MW를 차지한다. 만일 1분기의 성적이 올 한 해 꾸준히 유지된다면 2019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인 2.4GW를 상회하는 기록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양광 설비는 지난해 4분기 실적(617MW)과 비슷한 추세로 설치됐다. 이에 대해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관계자는 15일 “1분기 신규 태양광 RPS 설비 중 1MW 이하 중・소규모 태양광 설비 비중이 2018년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1MW 이상의 대규모 용량 설비 비중은 소폭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1MW가 넘는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보다 중·소규모 태양광 발전 설비가 더 많이 보급됐다는 것이다.

공단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태양광 신규 보급용량 중 자가용·보급지원용 설비는 35MW가량이다. 이를 제외한 용량인 579.9MW는 RPS 설비에 해당한다. 1분기 전체 태양광 신규 설비 중 94%가량을 차지하는 용량이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형 FIT 등의 정책 도입과 정부의 꾸준한 태양광 보급 지원 정책 덕분인 것으로 풀이된다. 공단 관계자는 “한국형 FIT 설비가 늘어나는 등 태양광 보급이 촉진되면서 소규모 태양광 설비의 보급 확대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아무래도 1MW가 넘는 설비들은 계통 연계 등이 지연되면서 보급이 조금 더뎌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규모 발전소는 인허가를 받기 어렵기 때문에 1MW 단위로 쪼개 조성(분양)하는 풍토가 여전히 영향을 줬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해 6월 산업부가 산지 태양광 가중치 하향조치를 결정하면서 기존 가중치를 받을 수 있었던 사업들이 올해 막바지로 대거 진입했다는 분석 역시 함께 나온다. A 대기업 태양광 시공 담당자는 “이번 1분기 신규 물량 600MW가량에는 대체로 1MW 단위의 분양사업이나 산지 태양광 등이 다수 포함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6월 26일부터 RPS 고시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산지에 태양광 사업을 준비하던 이들은 서둘러 발전사업허가를 받았다. 정부가 기존 사업자 채산성 보호를 위해 고시개정일로부터 3개월 내에 발전사업허가를 받는 사업자에겐 기존 가중치(용량별로 0.7~1.5)를 인정해줬기 때문이다.

당시 산업부는 산지 훼손 등을 막기 위해 산지에 태양광 설치를 사실상 금지하는 조치를 내린바 있다. 설비 규모에 따라 0.7~1.5에 달하던 가중치를 0.7로 일괄 조정해 사업자의 채산성을 낮추고, 태양광설치 20년 뒤 산림을 원상복구하는 태양광 산지 일시사용허가제, 대체산림조성비 의무 납부 제도 등을 통해 진입 장벽을 강화한 것이다.

현재 수면 위로 올라온 다수의 100MW 단위 대규모 태양광 프로젝트가 올해 착공된다면 신규 설비 보급량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B 기업 태양광 시공 관계자는 “업계에서 현재 논의되는 100MW 단위 사업만 해도 세 개 이상 된다”며 “만일 이런 사업들이 올해 인허가를 받고 착공에 성공한다면 올해 보급량은 2GW를 훨씬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태양광 보급이 호조세를 띄는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정우식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올 1분기 600MW가 넘는 태양광 보급은 문재인 정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방증”이라면서 “대규모 태양광과 함께 옥상형 태양광, 영농형 태양광 등도 활성화 돼 모든 국민이 자신의 생활 공간에서 태양광 전력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