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국내주도형 원자로’ 부실공사 논란까지 영광군민 불안감에 ‘기름’
격납건물 망치 발견, 공극·누유, 콘크리트 부식 이어 화재·원자로 자동 정지

한빛원전 전경.
한빛원전 전경.

전남 영광 한빛원전에서 잇단 사고와 결함 현상이 발생해 안전성 문제가 지속해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빛원전에는 연이어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7개월 새 다섯 차례 원자로 내 불이 났다.

3월 9일 1호기 원자로 격납건물 내 윤활유 누출 추정 화재, 1월 3일에는 1호기에서 공기호흡동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11월 11일 3호기 내 전기콘센트 화재 ▲9월 16일 2호기 보건물리실 화재 ▲8월 12일 1호기 자재보관창고 화재가 발생했다.

한빛원전 6기는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총 전력 소비량의 6.9%, 광주광역시·전라남북도 총 전력 소비량의 58.3%를 차지할 만큼 발전 비중이 큰 원전이다.

하지만 지난해 한빛 4호기를 1년 내내 가동하지 못하는 등 다른 지역 원전에 비해 낮은 가동률을 보여왔다. 이로 인해 영광군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부실공사 논란도 골칫거리다. 한빛 3·4호기는 웨스팅하우스가 건설에 참여한 1·2호기와 달리 원전표준화사업을 기본모델로 한 한국 최초의 국내주도형 건설 원전으로 각종 시행착오를 겪었다.

업계에 따르면 3·4호기는 공정 당시 콘크리트에 불순물을 섞거나 녹슨 철근을 사용하는 등 확고한 컨트롤타워가 없었다. 단 한 번의 사고가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원전에서 이같은 부실공사 논란이 불거지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한빛 4호기 증기발생기에서 망치 형태 이물질 발견, 공극·누유 다량 추가 발견, 한빛 2호기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CLP) 배면 부식 발생 등 건설 당시부터 생겼을 것으로 추정되는 결함들이 잇따라 드러나면서 주민들의 불안감은 고조됐다. 최근에는 한빛 2·5호기 등이 원전 내 이상 신호 감지 등으로 자동정지되기도 했다.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최근 원전 가동 중지, 원전 내 화재 등이 연이어 발생했다”고 인정하면서도 “대형 참사 방지를 위한 사고 감지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도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잇따른 사고로 지역 주민의 불안감이 고조되자 전라남도의회가 나섰다. 장세일 전라남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영광 제1선거구, 안전건설소방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3월 말 한빛 1호기 화재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도의회 안전건설소방위원회(위원장 임영수 의원)는 전남소방본부와 함께 3월 19일부터 1주일간 한빛원전 현장에서 화재점검 특별조사를 시행했다.

또 전남도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는 한빛원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장 의원이 대표 발의한 한빛원전 안전대책 강화 촉구 결의안이 채택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