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업진흥회,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수립 정책 포럼 개최
안선영 본부장 "실수요자 중심 혁신 정책 추진·산학연 컨소시엄 구성 시급" 주장
핵심 기술 중심의 수요 연계형 연구 개발 프로젝트 추진해야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수립 정책 포럼'에 참석한 패널들이 주제와 관련해 토론하고 있다.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수립 정책 포럼'에 참석한 패널들이 주제와 관련해 토론하고 있다.

광융합기술 발전을 위해 조속히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구체적인 연구개발(R&D)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를 위해 종합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한 컨소시엄을 출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안선영 한국광산업진흥회 본부장은 27일 열린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수립 정책 포럼'에서 "법률 시행에 따라 광융합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지속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종합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산업별 특성에 적합한 로드맵을 설정하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광산업은 2000년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으로 지정된 뒤 광주광역시 첨단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광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등 질적 성장을 거듭했다. 그러나 경기 침체와 중국의 공격적인 투자 및 저가 공세 등으로 시장은 장기 불황에 빠졌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광산업 시장 규모는 약 675억달러로 2012년 이후 성장세가 둔화됐다. 최근 10년간 성장률은 9.7%, 5년간은 4.3%다. 규모는 세계 시장의 10% 수준으로 다소 작은 상황이며 2015년 이후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하락세다. 광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은 1900여개 정도지만 중소기업이 86%에 달하고 매출 50억원 미만 기업 역시 70%에 육박한다.

안 본부장은 "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통한 기업 경쟁력 확보, 투자유치 및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면서도 "실효성 극대화를 위해 시장 및 기업이 원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가칭 '광융합종합지원센터'를 구축해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포용적 혁신 정책을 추진하고 전담기관 지정, 광융합정책 및 기술개발사업 발굴, 전문인력 양성, 시장기술 종합정보 제공, 산학연 교류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 운영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광융합산업 발전을 위한 중·단기 기술·개발 전략을 세우고 핵심 기술에 특화한 프로그램을 신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광융합기술의 초기 수요 창출을 위해 수요 및 공급부처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수요 연계형 연구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자는 것.

전기영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소장은 "광융합기술 분야를 크게 7개로 나누고 산업 파급력이 큰 순서부터 핵심 기술 또는 제품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며 "하반기에 고부가 및 신시장 창출이 기대되는 10대 유망분야, 50대 핵심 기술 테마를 발굴해 로드맵을 수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해 패키지(소재-부품-모듈-수요) 형태로 지원하고 중장기로는 광융합기술 전용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등 핵심 기술 개발에 특화한 프로젝트를 만들 것"이라고 부연했다. 7개 전략분야는 ▲광ICT융합 ▲스마트조명 ▲광의료바이오융합 ▲광융합영상정보 ▲첨단제조 ▲융복합광소자 ▲스마트광센서다.

그는 "다부처가 공동 기획하는 수요 연계형 R&D 프로젝트를 추진해 초기 수요 창출을 극대화해야 한다"며 "스마트시티, 통신, 군사보안시설 등의 부문에서 큰 수요가 예상된다"고 말을 보탰다.

한편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수립 정책 포럼'은 한국광산업진흥회와 한국광기술원, 한국조명연구원 공동 주관으로 열렸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나노기술원 등 업계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