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기업 존립 자체가 흔들
한전산업개발 공영화 방안 유력

공공기관의 민간위탁 사업 중 연료·환경설비 운전 근로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가닥이 잡힌 가운데 진행 과정에서 중요 당사자 중 하나인 기업들이 배제돼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공공기관으로 인력을 넘겨야 하는 기업들은 ‘시계 제로’ 상황에서 기업을 운영해야 하는 악조건에 놓여있다. 연료·환경설비 운전 분야 대상 근로자는 한국발전기술(KEPS) 300명, 수산인더스트리 142명, 금화PSC 73명, 일진파워 49명 등이며, 이중 한국발전기술의 경우 300명의 인력이 공기업으로 이직을 할 경우 회사 존립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KEPS 관계자는 “연료·환경설비 운전이 주요 사업으로, KEPS는 공공기관으로의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면 인력의 50%가 빠져나가 회사는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된다”고 말했다.

수산, 금화, 일진 등도 종업원 수의 10% 내외가 정규직 대상에 포함되는 만큼 일부 타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전산업개발은 공기업화 방향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회사의 운명이 크게 좌우될 전망이다. 현재 논의되는 것은 한전·발전공기업이 한전산업개발의 지분을 확보해 공공기관으로 전환하거나, 한전·발전공기업이 출자해 새로운 공공기관을 설립하는 방안 중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정규직화 대상 인력(2017년 6월 기준) 2266명 중 1702명이 한전산업개발 소속이라는 점과 한전산업개발의 시장점유율이 76%라는 점을 고려하면 한전산업개발의 공영화가 유력한 방안이라는 게 업계의 일치된 의견이다.

한전이 한전산업개발의 지분을 일부 보유하고 있는 것도 한전산업개발 공영화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상장기업인 한전산업개발은 한국자유총연맹이 31%, 한전이 2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정부와 민노총 정치권에서만 얘기가 나올 뿐 한전산업개발과 자유총연맹은 구체적인 얘기를 듣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유총연맹 측은 “정부로부터 어떠한 제안도 받은 것이 없으며, 우리도 언론 보도를 통해 소식을 접하고 있다”며 관련 보도를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전산업개발은 공기업 전환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한전산업개발은 “TF는 지난해 10월 구성된 것”이라며 최근의 움직임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해당 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할 ‘통합 노사전 협의체’가 이달 중으로 구성될 예정인 가운데 통합 노사전 협의체가 협의를 시작해야 어느 정도 윤곽이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