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운행선로 공사 안전성·전문성 제고 기대
전기철도 분야 위상 제고·일자리 창출 효과도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2)(인터뷰)안낙균 한국전기철도기술협회장

(3)(인터뷰)최창현 코레일 전철전력처장

2년 반 새 10건. 지난 2016년부터 올해 7월까지 전기안전관리자 업무소홀로 인해 철도 전차선로에서 발생한 단전 사고의 발생횟수다. 국내 철도 전철화율이 80%에 육박하며 전기안전관리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그간 전기철도 분야는 사실상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가까웠다. 전기철도의 특성을 반영한 안전관리를 시행할 법적 근거가 부재했던 탓이다.

최근 코레일(사장 오영식)이 제정한 ‘전기철도안전관리자 운영요령’은 이러한 전기철도 분야의 안전관리를 혁신할 제도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일반 전기와는 다른 전기철도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 안전관리자 선임 기준을 대폭 강화한 이 제도는 향후 전기철도 운행선로 인접 공사현장의 안전성을 톡톡히 제고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지에서는 이번 제도 제정에 맞춰 제도가 가지는 의미를 살피는 한편,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통해 향후 전망과 파급효과를 3회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전기철도안전관리자 운영요령은 전기철도 운행선로 인접공사의 특수성을 고려, 전기안전관리자 배치 시 자격기준과 교육방법 등을 개선해 감전사고 예방 및 열차안전 운행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정됐다.

그동안 코레일은 철도 공사 시 ‘열차운행선로 지장작업 업무세칙’에 의거해 전기안전관리자를 배치해왔으나, 공사현장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어왔다. 시간·여건 등의 제한적인 환경 탓에 사고 방지교육, 안전의식 고취 등 실질적으로 현장 안전관리에 필요한 교육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제정으로 전기철도안전관리자는 철도안전 전문기관인 한국전기철도기술협회에서 8시간 이상의 직무교육을 받아야 한다. 안전성은 물론, 전문성 제고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아울러 기존 ‘전기안전관리자’에서 ‘전기철도안전관리자’로 명칭이 변경되고, 작업장별 1인 배치(작업장 분산 시 추가 배치)가 명문화된 것도 의미가 크다.

철도 건설 분야에서 전기철도 전기직의 역할과 특수성을 인정받은 것이며, 의무 배치 기준이 마련되면서 새로운 직종 신설과 유사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란 게 업계의 전반적인 평가다.

전기철도기술협회 관계자는 “이번 제도 제정은 실질적인 안전성 제고 외에도 전기철도의 위상을 높였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라며 “제도가 현장에 안착해 철도산업 발전을 이끌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