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부산서 ‘제1회 스마트시티 아시아 표준포럼’ 개최
9개국 스마트시티 사례 공유됐으나 표준 논의는 미흡

20일 부산에서 열린 ‘제1회 스마트시티 아시아 표준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발표를 듣고 있다.
20일 부산에서 열린 ‘제1회 스마트시티 아시아 표준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발표를 듣고 있다.

20일 부산에서 처음으로 열린 ‘제1회 스마트시티 아시아 표준포럼’은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 국제표준을 제정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개최됐다. 스마트시티 구축 경험을 나누고 다양한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을 확보함으로써 전 세계 스마트시티 표준을 아시아지역에서 마련하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한국에서 처음으로 열린 이번 포럼은 스마트시티 관련 표준 논의가 부재했던 국내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자리가 됐다.

아직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국가 단위 표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황이긴 하지만, 표준 논의보다는 국내 사업의 방향성과 일부 사례만 공유돼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마트시티 아시아 표준 가능할까=이번 포럼에는 개최국인 한국을 비롯해 일본,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호주 등의 스마트시티 분야 전문가 180여명이 참석, 자국의 스마트시티 사업 전반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하지만 다양한 참여국들의 발표에도 아시아 표준의 방향성은 가늠하기 어려웠다는 게 전반적인 평가다. 자국의 표준화 논의는 생략한 채 스마트시티 사업의 사례와 비즈니스 모델만 언급된 경우가 잦았고, 일부 표준화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지만 IEC, ISO 등 국제표준화기구의 표준을 준용하고 있다는 언급 정도가 전부였다.

개최국인 한국에선 국토교통부 관계자가 나서 발표했으나 현재 한국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의 현황을 소개하는 데 그쳤다.

표준화 논의가 부실하자 현장에선 이에 대한 질문이 나오기도 했으나, “표준 부재에 따른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며 “현재 관련 R&D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돌아왔다.

이에 한 참석자는 “기존 스마트시티 담론에서 한 발짝도 더 나아간 게 없다”며 “중국, 유럽 등 세계적 동향과 비교해 볼 때 국내 표준화 논의는 아직 멀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혹평하기도 했다.

◆국제표준은 왜 필요할까=스마트시티 사업이 본격화된 이래 표준 제정이 주요 담론으로 부상한 것은 스마트시티의 특성과 관계가 깊다.

스마트시티는 기본적으로 단일 기술이 아닌 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 이를 도시민의 편의성과 행복감을 높이는 데 활용하는 플랫폼 사업이다.

표준의 중요성은 여기에 있다. 플랫폼 사업은 단일 사업자가 아닌 다수 주체가 사업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규격과 표준이 필요하다. 플랫폼에 연계·연동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스마트시티가 종국에는 단일 도시가 아닌 지자체간, 세계 도시간의 연결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도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단일 표준의 제정 필요성은 높다.

그동안 국내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U시티 플랫폼을 보급하는 등 노력을 해왔지만 성과를 내는 데는 실패했다.

특히 국제표준화 기구들은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와 성능평가지표 관련 표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아직 이 같은 논의에 참여하고 있지 않아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날 대표발제에 나선 일본 요시아키 이치카와 스마트시티 인프라 국제표준위원회 위원장도 국제적인 표준화 제정 노력에 동참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우리는 스마트시티를 시스템의 시스템(A System of Sytems)이라고 부른다”며 “국제 표준에 따라 사업을 추진해야만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스마트시티 인프라 국제표준위원회는 지난 2012년 설립된 이래 6개의 스마트 커뮤니티·도시 분야 표준을 발간했고 현재 5개의 표준 개발을 준비 중”이라며 “현재 이 위원회는 국제 표준 제정을 위해 IEC·JTC1 SC 등 타 표준기관과의 협력 또는 공동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