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생산능력·환경문제 등 쟁점

(왼쪽)B사의 공장 주소지에는 A사 이름이 건물 외벽에 붙어있었고, (오른쪽)A사 공장에는 집진시설이 설치되지 않았다. 사진=M·P사 제공
(왼쪽)B사의 공장 주소지에는 A사 이름이 건물 외벽에 붙어있었고, (오른쪽)A사 공장에는 집진시설이 설치되지 않았다. 사진=M·P사 제공

배터리 유통업체 M사와 T사가 제출한 A사의 VGS 납품 의혹에 대한 증거 자료는 크게 ▲중국산이 아닌 국내산이 맞는가 ▲국내 제조라면 정말 생산 능력이 있는가 ▲집진설비 등 환경설비를 갖췄는가 3가지로 요약된다.

이들 배터리 유통업체는 KS인증과 관련해 행정소송이나 검찰소송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A사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정식으로 이의제기를 하겠다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중국산이냐 국내산이냐

배터리 유통업체 M사와 T사는 A사가 중국산 납축전지 완제품을 수입한 뒤 국내 공장에서 제조한 것처럼 속여 판매한 것으로 의심했다.

이들에 따르면 A사는 2009년 10월 중국에 유한회사를 설립하고, 납축전지에 대한 KS인증 2종을 획득했다. 이후 2010년 충청남도 천안시 백석동에 위치한 산업용 납축전지 공장으로 KS인증을 이전했다.

배터리 유통업체는 KS인증의 경우 처음에 등록할 때는 최소·최대 용량의 샘플을 만들어 모두 검수하는데 반해, 이전할 경우에는 대표적인 기종 1개만 샘플링하기 때문에 완화된 심사를 받는다는 허점을 이용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M사와 T사는 A사가 2016년 관계사인 B사를 통해 축전지 사업을 포기한 N사의 축전지 설비 및 KS인증권을 양도받아 등록했다며, 당시 B사의 경우에는 생산 공장으로서 설비도 갖추지 않았고 각종 인허가도 없는 공장인데 어떻게 KS인증을 획득했는지, 사후관리는 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A사가 5대 발전소 유자격을 획득했으며, 지난해 2월에는 VGS 제조시설이 준비되지 않았음에도 VGS3000 추가 인증을 따냈다고 주장했다.

밀폐형 수소전지 역시 상당한 투자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웬만한 규모의 국내 중소기업은 만들 수가 없음에도 불구, A사가 KS인증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배터리 유통업체는 A사 및 B사(A사 관계회사)의 공장은 각각 천안 백석공단 내 다른 곳에 위치하고 있다며, B사의 주소지에는 A사 간판이 붙어있었고 제조설비가 모두 밖에 야적돼 있다고 증거 사진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표준화 규정을 보면 원래 동일한 사업장에서 2개의 KS인증을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공장 위치와 사명을 달리해 KS인증을 모두 얻어낸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반면 A사는 이같은 지적에 대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A사 대표는 “극판 생산 공정 중 ‘극판 성형’이라는 극히 일부분의 공정만 중국 공장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KS 규정에 따르면 배터리 생산시 납가루 제조, 기관 제조, 극판 제조는 외주를 줘도 된다고 나와 있다. 조립만 한국에서 한다면 국내산 인정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라며 “중국에서 극판 성형 공정을 해 들여왔다고 해서 이를 중국산이라고 보는 것은 KS에서도 인정한 사항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실제 국내 생산능력 있는가

M사와 T사 대표들은 “A사의 경우 현재까지만 놓고 보면 천안 공장에서 VGS, MSB 등의 제조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또 A사가 수입품을 들여왔든, 반조립이든, 직접 제조하든 VGS 제품성능에도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A사의 VGS를 국내 정상품과 비교했을 때 한눈에 봐도 품질 수준 차이가 있다고 했다. A사의 VGS는 수명이 7~10년인 MSB 또는 MSBS 조립품에 전조, 커버만 VGS 제품을 사용한 것으로 보여진다는 것.

그 이유로는 VGS전지의 경우 12년 이상 수명을 위해 국내외 제조규격이 MSB(S)극판보다 사이즈가 길고 겔을 사용하며 격리판도 AGM이 아닌 다공성 격리판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이들 업체는 불량 VGS가 납품됐을 때 심각한 안전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정상적으로 12년 쓸 수 있는 배터리가 무상보증기간(3~4년)을 지난 후에 5~7년마다 문제가 생긴다면 비용 손실 역시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A사 측은 중소기업 죽이기가 아니냐며 반발했다.

A사 대표는 “지난해 12월 모 기업이 국내 5대 발전사 납품 유자격증 심사를 넣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이 때문에 그쪽에서 우리 회사 공정에 대한 민원을 너무 심하게 넣자 발전5사 담당자 15명이 지난 3월 1박2일로 직접 실사를 오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배터리를 직접 제조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아무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덧붙였다.

◆집진설비는 갖춰졌나

배터리 유통업체 대표들은 A사와 B사를 찾아가보니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해야 할 집진기, 공조기 등의 시설이 갖춰지지 않아 유해물질이 공기중에 퍼져나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만약 A사가 납축전지 반제품인 극판을 중국에서 가져와 조립을 하더라도 플러스·마이너스 극판을 각각 용접하면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따라서 A사는 지난달 5대 발전사 유자격 재심사에서 자체 제작을 하는 것을 확인받고 환경설비 조건부 승인을 얻었기 때문에, 관련 설비를 구축해놔야 한다.

이에 A사 측은 납가루가 많이 날리는 가장 큰 공정은 극판 성형이고, 중국에서 극판 성형을 해 들여왔기 때문에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극판 성형 외 공정은 폐수가 일부 나오긴 하나, 일전에 신고를 마친 상태라고 해명했다.

A사는 또 올해부터 국내에서도 극판 성형을 하기 위해 지난달 21일 관련 신고와 허가를 마친 상태다. A사는 현재 아주 작은 양의 극판 샘플링은 하고 있긴 하지만, 생산은 이번달 말 가동개시 신청 이후 진행할 예정이다.

A사 대표는 “허가를 받아야 하는 사항은 극판 성형에 관한 것이고, 아직 극판 성형이 필요한 물량은 오더가 없어 가동을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확인 결과 천안시청 측은 조만간 A사가 가동 개시일을 통보하면 직접 방문해 집중 점검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A사의 주장대로라면 극판 성형과 관련한 기기 가동 개시 이외에 다른 작업은 공장가동이 가능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