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준공 이후 적자 지속...구조적 문제로 자구노력으론 한계

2015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동두천드림파워 LNG복합발전소 전경.
2015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동두천드림파워 LNG복합발전소 전경.

지난 2015년 서부발전과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KB자산 등 국내를 대표하는 발전사와 건설사, 금융권이 공동으로 발전사업을 시작해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동두천드림파워가 파산 위기에 놓였다.

발전업계에 따르면 동두천드림파워(대표 한상문)는 올해 8월까지 회사채 1200억원을 차환하지 못할 경우 최대 2002억원의 자금부족으로 파산할 것으로 전해졌다.

2015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동두천드림파워는 858.4MW급 2기 총 1716.8MW 규모의 LNG복합발전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기자본 3307억원, 타인자본 1조2650억원 등 총 1조5957억원이 투자됐다.

하지만 상업운전 이후 3년간 적자가 지속되면서 누적적자 규모가 913억원에 달해 재무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두천드림파워는 수익창출과 비용절감을 위해 4년째 임금동결과 자발적인 임금반납, 복리후생비 50% 축소 등 자구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연료비 대비 낮은 전력판매단가 등 전력거래제도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앞으로도 상황 개선의 여지가 별로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는 후발주자로 발전 사업에 뛰어든 다른 민간LNG복합발전사업자들도 상황이 비슷하다. 안산LNG복합화력발전소(834MW)를 운영 중인 에스파워는 2016년 19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도 88억원의 손실을 냈다. 포천복합화력발전소(1560MW)를 운영 중인 포천파워도 2016년 446억원 적자에 이어 지난해도 8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평택에너지, 대륜발전 등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9월 상업운전을 시작한 대우건설의 포천민자LNG복합화력발전소 역시 올해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후발 민간LNG복합발전소는 최신 설비를 적용해 기존 발전소보다 효율이 높아 전력수급과 계통안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LNG발전은 석탄발전 대비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친환경발전소인 데다 에너지전환을 위해선 꼭 필요한 설비인데, 만일 이들 기업이 파산이라도 하게 되면 국가적인 손실이 막대하다.

이뿐만 아니라 한전 입장에서도 급전순위가 높은 이들 발전소가 퇴출되면 전력구입비가 크게 증가한다. 후발 민간LNG복합발전사들이 시장에서 고전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전력시장가격(SMP)대비 연료비의 역마진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8년 4월 현재 발전사들이 시장에서 받는 전력시장가격(SMP, 88.24원/kWh)보다 가스공사로부터 공급받는 연료비(LNG, 96.93원/kWh)가 더 비싸다. 비제약발전, 제약발전, 보조서비스를 통해 일부 변동비 보상을 받고 있지만, 이를 고려해도 변동비 마진은 1.52원/kWh 정도로 매우 낮다.

그래서 발전소를 돌릴수록 적자가 쌓이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SK E&S나 GS EPS, 포스코에너지 등이 그나마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건 가스공사보다 17~27% 가량 연료를 싸게 해외에서 직도입하고 있거나 한전과의 PPA계약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고정비(건설투자비, 운전유지비) 대비 낮은 용량요금(CP)이다. 지난 2016년 말 일부 용량요금 인상이 이뤄졌지만, 용량요금 산정기준은 2001년 가스터빈(GT)기준이어서 최근에 건설되는 복합발전(CC)들의 경우 고정비 회수가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RPS의무이행도 큰 부담이다. 1~2기의 발전소만 갖고 있는 민간발전사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자체 건설하기 힘들어 대부분 현물시장에서 REC를 구매하는데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하지만 정부는 한전의 재정 악화 등을 이유로 전력시장제도 개선에 아직 적극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향후 가스 직도입 확대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업계로서는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상문 동두천드림파워 대표는 “임직원 전체가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강력한 자구노력(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동두천드림파워 뿐만 아니라 포천파워, 포천민자 등 후발 민간발전사들의 누적적자가 지속되는 심각한 상황이어서 단기적으로 연료 역마진을 해소해주고, 한시적 PPA를 허용함으로써 당장의 적자를 해소해주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력업계 전문가도 “당장 전력시장제도 개선이 어렵다면 일부 적자로 허덕이는 발전회사만이라도 한시적 PPA를 허용해 주는 게 바람직하다”며 “1000억원 정도면 업계의 숨통이 트일 수 있는 만큼 전력당국이 기지를 발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