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추가 건설 시급

월성원전 내 맥스터 모습.
월성원전 내 맥스터 모습.

월성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의 포화예상시점이 2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임시저장시설 추가건설이 지체될 경우 월성원전의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는 경수로인 신월성 1·2호기와 중수로인 월성 1~4호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중 신월성 1·2호기 내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의 포화예상시점은 2038년으로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지만, 월성 1~4호기의 경우 2020년이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추가 임시저장시설을 건립하기 위해 2016년 4월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운영변경 허가를 신청한 상태다.

◆임시저장시설 허가 늦어지면 월성원전 중단 불가피

문제는 원안위의 허가시점이다. 정부의 월성1호기 조기폐쇄 방침 등으로 포화시점이 다소 늦춰질 수 있지만, 임시저장시설 건설에 18개월 이상 소요되는 점을 감안할 때 늦어도 올 상반기에는 착공에 들어가야만 월성1~4호기 운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월성원전 부지에는 이미 건식저장시설인 캐니스터 300기와 맥스터 7기가 자리하고 있다. 흰색 원통 모양인 캐니스터(높이 6.5m, 직경 3m)는 1992년 4월부터 사용후핵연료 저장을 시작해 2010년 4월에 포화됐고, 사용후핵연료 16만2000다발을 저장 중이다. 회색 콘크리트 외벽으로 둘러싼 맥스터는 2010년 4월부터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해왔으며, 저장용량 16만8000다발 중 15만1200다발(2017년 12월 기준)을 보관하고 있어 저장률이 90%인 상태다.

한수원이 이번에 새로 건립하려는 임시저장시설은 맥스터 7기로 사용후핵연료 16만8000다발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는 규모다.

원안위 관계자는 “맥스터 추가 건설은 안전성만을 집중적으로 심사하고 허가여부를 판단하고 있다”며 “지난해 7월 한수원에 4차 질의서를 보냈으나 아직 답변이 오지 않는 상황이며, 한수원의 답변서가 와야 추가 질의나 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다음 단계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주 지역 주민, 임시저장시설 추가 건설 반발

월성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의 추가 건설에 대해 경주지역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경주지역을 비롯한 원전 소재 지자체 행정협의회는 2016년 정부가 발표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서 중간저장시설 가동이전까지 불가피하게 원전부지 내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계획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경주지역에서 월성원전 내 고준위방폐물을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은 당면과제로 손꼽힌다. 경주 주민들이 중·저준위 방폐장 건설을 수용한 데에도 중·저준위 방폐장과 고준위방폐장을 분리해 건설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또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과 영구처분장 건설 등 정부의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도 불명확한 상태다. 지난 정권에서 2028년 대상 부지를 선정한 뒤 중간저장시설은 2035년, 영구처분시설은 2053년에 가동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로드맵을 마련했지만, 현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재공론화를 추진할 방침이라 이를 해결하는 데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재근 경주YMCA 원자력안전아카데미 원장은 “현재 월성원전 내 건식저장시설은 임시저장 수단임에도 고준위방폐물 저장이 장기화되면서 중간저장시설이나 영구저장시설이 될 우려가 있다”며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법안 마련 등 정부의 대책마련이 없다면 맥스터 추가 건설은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