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우 삼정KPMG 본부장(서울대학교 겸임교수)
김성우 삼정KPMG 본부장(서울대학교 겸임교수)

올해 필자는 한국인 최초로 IETA(International Emission Trading Association) 이사로 선임된 이후 다양한 글로벌 행사에 참여해 발표 및 토론할 기회가 많았다. 주제도 기후에너지, 임팩트투자, 블록체인, 국제개발협력, 탄소시장 등 다양했다. 우리에게는 환경에너지나 사회공헌 정도의 부수적인 주제로 여겨지는 현실이지만 글로벌사회에서는 핵심적인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 9월말 뉴욕에서 열린 제72차 N총회시 다양한 관련행사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해 글로벌 리더들과 함께 UN이 설정한 SDG(지속가능개발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토의를 진행하면서, 우리나라에 신사업 기회가 될만한 몇 가지 의미있는 글로벌 트렌드에 주목하게 되었다.

첫째는 경영전략과의 연계다. 하버드 대학에서 연구한 과학 논리를 바탕으로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와 기업전략을 연결해 주는 수학적 툴이 개발돼 소개되었다. 특정 회사의 입장에서 SDG 17개 이슈가 어떻게 서로 연결 및 연합되어 있고 어떤 흐름으로 해당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수학적으로 파악해 내는 도구이다. 이미 BP/GM/Airline/Mobile/Energy/금융사 등에 적용을 하기 시작했고, 이는 불확실한 경영 환경하에서 기업이 SDG와 연계하여 리스크 대응 및 비즈니스 포커스를 잘 하도록 도움을 주며, 특히 사회공헌도 어디에 더 집중해야 효과가 좋을지 알려주는 툴이다.

둘째는 경험공유의 니즈다. 파리협정 이후 글로벌 사회에서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는 탄소거래제는 UN총회 부대행사에서도 많은 토론이 있었다. 내년부터 실행 예정인 대규모의 중국 탄소거래제에 대한 관심도 많았지만, 실제 질문은 이미 실행하고 있는 한국의 탄소거래제에 대해 더 많았다. 우리는 실제로 시장이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향후 탄소거래제를 실행할 국가는 유럽이나 미국보다는 우리나라와 산업구조가 더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어떤 국가가 새로운 탄소거래제 도입시 산업구조 유사성에 따라 어떤 국가를 벤치마킹 할지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탄소거래제를 실시할 중국 및 수많은 개도국들은 그들과 산업구조가 다른 유럽의 탄소거래제 보다는 한국의 탄소거래제를 벤치마킹 해야 한다. 여기에 우리나라에 많은 기회가 있다. 마침 문 대통령께서도 UN총회에서 한국의 탄소거래제가 아시아최초 국가단위 탄소거래제 임을 강조해 주셔서 이런 주장이 더욱 힘을 받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민간투자의 혁신적 촉진이다. UN 및 개발은행들은 오래 전부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금을 활용한 민간투자 촉진이 필수임을 인지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이번 UN총회 기간 중에 혁신적 방법이 제안되었다. UN과 세계은행이 Invest4Climate Platform을 론칭했다. 새로운 돈이 아닌 현재 집행하고 있는 공공기금을 연합해, 기후에너지 관련 개도국 투자대상 프로젝트에 보증/신용보강/우선손실감수 등을 제공함으로써, 개도국 지속가능 인프라에 대한 민간투자를 획기적으로 촉진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공공기금이 양허성 대출에 치중되어 있었던 점을 고려해 보면 이는 투자리스크 회피 성향을 가진 민간투자 촉진을 위한 혁신적이고 핵심적 움직임이다.

이 같은 글로벌 트렌드가 우리에게 모두 맞는 옷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성장동력을 반드시 찾아야 하는 우리나라의 절박한 상황하에서, 우리 정부와 우리 기업은 이미 시작된 지속가능개발 관련 글로벌 트렌드를 국가 및 회사 전략에 어떻게 반영시켜 새로운 시장을 선점할지 고민해야 할 시점임은 확실하다. 우리 스스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