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차 전력수급계획 신재생WG “2% 설비예비율 반영해야”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대응을 위해선 설비예비율 2%인 2GW 정도의 백업 발전설비를 추가로 확보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신재생워킹그룹은 19일 코엑스에서 5차 회의 후 브리핑을 갖고,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대응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워킹그룹은 이날 대응방안으로 ▲백업설비의 최소 설비예비율 반영 ▲발전량 예측, 계측, 제어를 위한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운영 ▲유연성 설비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 등을 내놨다.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의 간헐성 보완이 필요해 빠른 시간 내에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속 양수, 가스터빈(G/T) 단독 운전이 가능한 LNG복합 등의 백업설비 확보가 필요하다.

ESS 등 유연성 설비를 확보하는 게 당장은 어려운 만큼 우선 하드웨어 측면에서 설비예비율 2% 정도의 백업설비를 추가로 확보하고,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실시간 전력시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게 워킹그룹 측의 설명이다.

워킹그룹은 이를 위해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해 발전량과 출력 변동을 예측하고, 현재의 하루 전 거래시장을 보완해 실시간 전력시장과 예비력 시장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다.

우선 신재생에너지 3020 목표를 달성하려면 47GW 정도의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추가로 필요한데,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뿐만 아니라 ESS 등 유연성 설비의 설치도 그만큼 늘어나야 한다.

현재 ESS 1MWh 설치비용이 약 7억원에 달해 ESS를 1GWh만 설치해도 비용은 7000억원이나 든다.

서울대 문승일 교수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설비보다 ESS가 더 많이 설치돼야 전력계통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장은 “일본의 경우 태양광설비를 44GW나 설치했지만, 그에 따른 ESS 설치는 아직까지 많지 않고, 독일도 최근에서야 ESS 설치를 늘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신재생 보급률이 낮은 우리나라로서는 지금 당장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고민하기 보다는 보급을 어떻게 늘려나갈까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박호정 고려대 교수도 “신재생 확대가 본격화되면 유연성 설비 자원 확대뿐만 아니라 전력시장의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한다”며 “실시간 전력시장은 신재생에만 국한된 게 아니라 프로슈머, 전력거래 등과도 관련된 만큼 앞으로 획기적인 시장 제도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