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조사 결과, 非제조업보다 제조업이 기대감 높아
초대 장관에 바라는건 ‘소통’, ‘전문성’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이번에 신설되는 중소벤처기업부에 상당한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 마련과 자금조달 용이, 대기업 횡포 차단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7월 17일부터 7월 19일까지 3일간 200개 중소기업(제조업 138개, 비제조업 62개)을 대상으로 중소벤처기업부 신설에 따른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 10곳 중 7곳(68.0%)이 중소벤처기업부에 기대감을 표시했다. 기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2%에 그쳤다.

업종별로 보면 비제조업(67.7%)보다 제조업(68.1%)의 기대감이 높았다.

규모별로는 규모가 큰 기업(76.1%)이 작은 기업(65.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중소벤처기업부 신설에 대한 기대 이유로는 ‘중소기업 관련 법안 개정·발의 등 영향력 확대로 중소기업 중심 경제구조 개편’(48.5%)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중소기업 관련 예산 확대로 자금조달 용이’(47.1%), ‘미래부, 산업부 등에 산재하던 중소기업 정책이 이관돼 효율적 집행 가능’(40.4%) 등을 선택했다.

업종별로 보면 비제조업에서는 ‘중소기업 관련 예산 확대로 자금조달 용이’가 가장 높았으며, ‘대기업의 횡포로부터 보호 강화’를 선택한 기업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규모별로는 규모가 작은 50인 미만 기업들이 ‘대기업의 횡포로부터 보호강화’를 선택한 비율이 높았다.

김경만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중소기업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 개편을 통해 중소기업의 좋은 일자리 창출, 기울어진 운동장 바로 잡기와 포용적 성장 등을 추진하는 정부 조직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우선하기 바라는 정책분야로는 ‘시장의 공정성 확립’이 44.0%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강화’, ‘금융(자금), 세제 지원 강화’, ‘양질의 일자리 창출’, ‘규제개혁’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이 가운데 제조업의 경우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강화’가 가장 많았고, ‘해외진출 지원’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비제조업은 ‘규제개혁’, ‘창업·벤처활성화’, ‘소상공인·전통시장 자생력 제고’에 대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 중소기업들이 초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게 가장 바라는 것은 ‘소통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36%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 ‘중소기업과의 소통능력’을 꼽았고, 다음으로 ‘중소기업 관련 전문성’(35.0%), ‘풍부한 현장경험’(19.0%) 등을 제시했다.

제조업체들은 주로 ‘전문성’을, 영세기업들은 ‘소통능력’을 중요한 자질로 꼽았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계의 가장 효과적인 소통방안으로는 ‘SNS활성화 등 중소기업과의 소통창구 다양화’가 35.0%로 가장 많았으며, ‘중소기업계와의 정례 간담회 개최’(31.0%), ‘우수 중소기업 발굴 및 포상 확대’(19.0%), ‘장관의 수시 현장방문’(15.0%)도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중소기업계가 발전하기 위해 중소기업 스스로 노력해야 하는 부분으로는 ‘기술경쟁력 강화’가 60.0%로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품질·브랜드 가치 제고’(39.5%), ‘기업경영 투명성 제고’(28.5%), ‘일자리창출 동참’(28.0%)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 신설이 문재인 정부 조직개편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면서 초대 장관으로 누가 인선될 것인가도 관심거리다.

24일 현재 관가에선 윤호중,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홍종학 전 의원, 문재인 캠프에서 4차 산업혁명 관련 공약을 만든 이무원 연세대 교수, 최장수 중소기업청장을 지낸 한정화 한양대 교수 등이 하마평에 올라있다.

그러나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자리라 실전경험이 풍부한 중소·벤처기업 CEO출신의 깜짝 발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