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개 기업 유치 목표 초과…에너지신산업 분야 최다
5개 산업단지 묶은 국내 최초・최대 에너지복합단지
금융・판로지원, 인력해소 등 입주기업에 다양한 혜택

지난 2014년 12월 광주전남혁신도시에 둥지를 튼 한국전력은 본사 이전과 동시에 그간 구상해 온 빛가람 에너지밸리 조성에 본격 돌입했다.

빛가람에너지밸리는 한전이 입주해 있는 전남 나주시 금천·산포면 일원의 혁신도시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도첨지방산단(35만평, 2018년초 입주)과 나주혁신산단(40만평), 진곡산단(37만평), 도첨국가산단(10만평, 2017년말 입주), 신도일반산단(7만평) 등 인근의 5개 산업단지를 한 데 묶은 국내 최초, 최대의 에너지 복합 단지다.

특히 빛가람에너지밸리는 전기·에너지 산업의 중심인 한전과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시 등 관련 지자체가 에너지산업업 위주의 기업·연구소를 유치, 산업생태계를 만들어 나간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지난해까지 177개 기업 유치…2020년까지 500개 기업, 3만개 일자리 창출 목표

한전은 본사 이전 한 달 여 만인 2015년 1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나주시 등 해당 지자체와 에너지밸리 조성 협약을 맺고 본격적인 기업 유치에 나섰다.

지난해까지 150개 기업 유치를 목표로 했던 한전은 2016년 12월을 기준으로 177개 기업을 에너지밸리로 유치, 당초 목표를 상회하는 결과를 거뒀다. 이와 관련한 투자금액은 8149억원이며, 5658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함께 기대된다.

이를 통해 한전은 오는 2020년까지 빛가람에너지밸리에 500개 기업을 유치, 총 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나갈 방침이다.

한전과 지자체, 기업이 함께하는 에너지신산업 중심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빛가람 에너지밸리를 창의적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스마트 에너지 허브’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현재까지 에너지밸리에 투자한 기업들의 유형을 살펴보면 에너지신산업 분야가 139곳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력기자재 부문에는 35개, 기타 유형은 3개 기업이 각각 참여하고 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견·중소기업이 164곳으로 가장 많았고, 대기업과 외국기업은 각각 7곳과 6곳으로 나타났다.

▲예탁형 이자지원 등 입주기업에 실질적 혜택 마련

우선 빛가람에너지밸리에 입주한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지원제도 들이 가장 먼저 눈에 띈다.

한전은 빛가람에너지밸리 투자 기업들을 대상으로 금융지원을 위한 ‘예탁형 이자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총 2000억원 규모로 5년간 에너지밸리 협약기업의 대출이자를 지원하는 이 제도는 최소 2.56%에서 최대 2.71%까지 대출이자를 감면해주는 것이다.

지원한도는 기업당 대출금액 최대 20억원이며, 현재까지 에너지밸리 투자기업 중 75곳에 대해 960억원이 지원됐다.

전격·ICT 융합분야 스타트업과 연구소기업 자금지원을 위한 중소기업 육성펀드도 출자했다. 한전과 한국벤처투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이 함께하는 사업은 1단계 500억원 등 총 1000억원을 출자해 에너지신산업 분야 중견·중소기업과 에너지밸리 소재 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데 활용된다.

한전은 또 기업들의 투자실행을 촉진하고자 에너지밸리 기업들이 협력연구개발 공모에 참여하는 경우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기업간 건전한 경쟁과 협력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활발한 투자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와 합동으로 기업의 조기 투자실행을 유도하기 위한 ‘안착지원팀’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전은 지난해 6~7월 동안 51개 기업을 방문, 6개 기업이 조기투자를 결정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 핵심인력들의 이탈 방지 및 장기재직을 유도하기 위한 ‘빛가람 채움공제’ 사업도 올 상반기 중에 추진할 예정이다.

빛가람 채움공제는 5년 이상 재직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한전과 기업, 근로자가 3분의 1씩 비용을 분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의 부담을 덜어주는 동시에 기업의 중요 인재들이 근로복지 여건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전 측은 전했다.

▲중기 특별지원지역·KTP 등 국내외 판로 지원

에너지밸리 유치기업들의 국내·외 판로 확보를 위한 노력들도 이목을 끈다.특히 에너지밸리는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50조에 의거한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 곳은 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제한경쟁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타 지역보다 에너지 분야에 보다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실제로 지난해 빛가람에너지밸리 나주혁신산단에 처음으로 입주한 이우티이씨의 경우 제한경쟁을 활용, 105억원 상당의 변압기 물량을 가져간 바 있다.

한전은 현재 10% 수준인 빛가람에너지밸리의 제한경쟁 물량을 대상기업 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대 20%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전은 또 에너지밸리 입주기업들이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들 투자기업을 KTP(Kepco Trusted Partner)로 우선 지정, 해외시장 진출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해외 주요 전시회나 수출촉진회 등 이들 기업과의 해외 동반진출에도 적극 협력하고 있다.

▲한전-지역-대학-기업 잇는 일자리 창출 모델 발굴

빛가람에너지밸리 입주 기업들의 대부분인 중견·중소기업들의 최대 현안인 ‘인력’문제를 해소하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한전은 지역 대학 등과 손잡과 ‘학점연계형 에너지신산업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운영 중이다. 대학 3·4학년생 240명(상·하반기 각 1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통해 2015년 56명, 2016년 상반기 116명 등 총 172명이 교육을 수료했으며, 대학 4학년생 96명 중 12명이 취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전과 중소기업이 손잡고 청년인재 발굴에 나서는 ‘고용햇살 프로젝트’도 확대 시행한다. 고용햇살 프로젝트는 한전교육(2개월)과 중소기업 인턴(3개월) 과정을 연계한 고용모델로,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에 한전과 중소기업이 협력하는 대표적인 모델이다.

지난해 상·하반기에 150명씩 총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고용햇살 프로젝트를 통해 현재 23개 기업에 59명이 취업할 예정이라고 한전 측은 전했다.

이 밖에 공업계고등학교와 폴리텍 대학을 중심으로 한 기능인력 양성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IPP(장기현장실습)형 일학습병행제 등 대학과 기업을 연계한 에너지 분야 전문인력 양성에도 주력하고 있다.

▲산·학·연·관 네트워크 조성 박차

산·학·연·관이 함께 고민하고 소통하는 자리도 만들어 나가고 있다.

한전은 김황식 전 총리를 위원장으로 한전 사장과 광주광역시장, 전라남도지사 등 지역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참여하는 ‘에너지밸리 위원회’를 통해 각 위원별 전문 분야에 대한 자문과 대정부 협력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전기산업진흥회 예하의 에너지밸리 기업개발원을 설립해 연구시험설비와 시제품 생산 등을 돕는 중소기업의 R&D 지원, 인력양성 교육 등을 시행하는 창업보육 지원, 세제, 금융·행정절차를 안내하는 이전기업 지원 등의 역할도 수행할 방침이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과 개발품 실증 등을 지원하는 에너지밸리 R&D센터도 추진중이다.

이와 함께 한전은 에너지밸리 입주기업 간 소통 강화와 입주를 검토하는 기업들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에너지밸리 포털사이트’도 구축, 시범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에너지밸리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들에게 투자 환경 등을 소개하고, 에너지밸리에 입주한 기업 및 제품의 정보, 구인구직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간 연계와 소통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11월 29일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차 에너지밸리위원회’ 모습.
지난해 11월 29일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차 에너지밸리위원회’ 모습.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