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유니슨 등 참여 의향 밝혀…달라지는 사업구도
참여기업 축소.사업 무용론 속 불씨 되살아나
정부, 연말까지 2단계 시범사업계획 전면 재검토

각종 인허가 난항, 참여기업 대폭 축소, 주민 반대 심화, 사업 무용론.

서남해 해상풍력사업을 추진하는 한국해상풍력이 설립 후 4년 간 겪었던 일이다. 그러나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효성, 유니슨 등 국내 풍력기업들이 잇달아 서남해 해상풍력사업에 참여 의사를 밝히면서 꺼져가던 불씨가 살아나고 있다.

▲곳곳서 걸림돌 출연…사업 무용론도 나와

서남해 2.5GW 해상풍력사업은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국내 최초의 대규모 해상풍력사업이다.

정부는 2008년 10월부터 2년 동안 국내 전체 해상을 대상으로 풍황, 수심, 계통연계조건, 해안과의 이격거리, 변전소 이격거리, 확장성 등을 조사해 서남해안권 중 부안-영광지역 해상을 해상풍력사업의 최적지로 선정했다. 2010년에는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을, 2011년엔 사업의 세부 실행계획을 담은 ‘서남해 2.5GW 해상풍력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후의 추진일정은 좌충우돌이었다. 해상에 풍력발전기를 꽂기 위한 인허가 과정에서 해양수산부와 이견을 빚어 법제처까지 갔고, 국방부의 레이더영향평가를 통과하는 데도 한참이 걸렸다. 보상 문제를 둘러싼 지역주민과의 갈등은 과거보다 많이 사그라들었지만 여전히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국내 풍력기업이 대부분 사업을 접으면서 참여기업이 대폭 축소한 것은 사업의 향방을 가늠하기 어렵게 했던 가장 큰 요인이었다. 이번 사업은 당초 대우조선해양, 두산중공업, 삼성중공업, 유니슨, 현대중공업, 효성, DMS, STX중공업 등 총 8개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었다. 이들 기업이 3~7MW 규모의 풍력발전기를 1~2대씩 공급할 계획이었지만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효성을 제외한 기업들이 모두 발을 뺐다. 이후 현대중공업과 효성도 사업을 포기했고 결국 두산중공업만이 남았다. 1단계 사업 기간은 2019년 말로 연기됐고, 사업 규모도 100MW에서 60MW로 축소됐다. 1개 기업만이 남으면서 특혜 시비가 제기되는가 하면 사업 무용론도 나왔다.

▲기업들 재참여로 분위기 반전

그러나 효성이 1단계 실증사업에 다시 참여하기로 입장을 바꾸면서 분위기는 달라지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 사업에 관심을 두지 않던 유니슨이 2단계 시범사업에는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면서 2019년 이후 추진될 2단계 사업부터는 참여기업 풀도 넓어지게 됐다.

류지윤 유니슨 대표는 “현재 4MW급 제품을 개발 중인데 해상 인증도 받을 예정”이라며 “내년 상반기까지 인증 획득을 마치면 2019년 이후 추진될 2단계 시범사업에는 참여가 가능할 것 같다. 그런 입장을 해상풍력추진단 측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현재 U113(2.3MW)의 효율을 개선한 U120을 개발 중인 유니슨은 2019년 시장 출시를 목표로 4MW급 풍력터빈 개발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이 제품은 모듈식 드라이브 트레인을 활용해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 회사 측은 2000년 중반에 건설된 풍력발전단지의 리파워링 시점에 맞춰 제품 개발을 마치고 육상은 물론 해상풍력 시장에도 도전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경제성을 이유로 2단계 시범사업에 반대 의사를 표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해상풍력 측은 이번 사업 자체가 수익성보다는 국내 풍력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입장이다. 또 1단계에 참여한 기업들의 제품을 고도화하고, 해상풍력 구조물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려면 2단계 사업은 필수적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해상풍력추진단 관계자는 “사업계획 수정 과정에서 제기되는 비판적인 의견이 2단계 사업이 제대로 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1단계 이후 다음 단계의 사업이 왜 필요한지, 여기서 우리가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다시 따져보고 기업들의 의향을 고려해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