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역사를 말하려고 나 여기 있다.

버펄로의 평화부터

지구 끝, 영겁의 남극 빛 거품 속에서

온갖 풍상을 겪어낸 모래까지,”

사랑의 시인이자 저항의 시인, 칠레의 파블로 네루다의 대표작인 ‘모두의 노래’가 한국에 번역·출간됐다. ‘모두의 노래’는 대중과 평단의 사랑을 동시에 받은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이자 중남미 민초들을 대변한 칠레의 외교관이자 정치가인 네루다가 스스로 최고의 역작이라고 꼽은 작품이다.

네루다는 서정적이고 관능적인 사랑을 속삭이는 동시에 칠레를 위시한 중남미의 역사, 정치적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 소박한 일상에 대한 반추 등 입체적인 시 세계를 구축한 시인이다. 작품의 방대함과 난해함, 중남미의 역사와 자연을 모르고서는 이해하기 힘든 지역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번역이 쉽지 않았지만 마침내 한국에서도 접할 수 있게 됐다.

‘모두의 노래’는 총 15부 252편으로 구성된 대서사시로 네루다 특유의 역사의식과 만물에 대한 애정이 엿보이는 시집이다. 스페인 내전 당시 영사로 근무했던 네루다는 공개적으로 공화파를 지지하다 해임돼 1938년 칠레로 귀국했다. 파리의 난민 담당 영사를 거쳐 멕시코 총영사로 근무하고 돌아와 정치가로 활동했고, 정권의 박해를 피해 1949년 망명하기까지 쓴 시를 모아 1950년에 펴냈다.

처음에는 모국 칠레의 현실을 증언하려 했으나, 멕시코 총영사를 마친 뒤 귀국 길에 들른 페루의 마추픽추에서 그는 중남미 전체, 카리브 해 그리고 미국, 유럽의 그리스, 소련까지 공간적 범위를 넓힌다. 잉카 시대의 유적을 보면서, 현재 시점부터 유적지를 건설한 인물들이 살았던 시대, 그 이전 시대, 아메리카에 인류가 살기 시작했던 시원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네루다는 시대의 증언자를 넘어 역사의 증언자가 되었다.

사회적 약자, 가난한 노동자, 평범한 민초들을 대변했던 시인 네루다는 중남미 원주민의 문화를 내적으로 소화하여 당대의 민중의 삶과 접합함으로써 시공간을 초월한 대서사시를 완성했다.

대부분의 역사서가 아메리카에 대해 언급할 때, 마야·아스테카·잉카 문화를 간략히 언급하고 유럽인의 진출 이후부터 상세히 기술하는 반면, 네루다는 아메리카의 시원에서부터 역사서가 기술하지 못한 1950년대의 현대사까지 노래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