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에너지타운, 에너지자립섬, 제로에너지빌딩 업계 간담회
우태희 차관, “민간투자 확대와 해외진출 힘써달라”

정부가 에너지신산업의 저변 확대를 위해 민·관이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산업부는 6월 30일 서울에서 에너지신산업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에너지신산업 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친환경에너지타운, 에너지자립섬, 제로에너지빌딩 등 에너지신산업 3대 모델에 대한 추진현황과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가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신산업의 대표적인 모델로써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결합된 복합사업이다. 산업부가 에너지신산업 중 3가지 모델로 친환경에너지타운, 에너지자립섬, 제로에너지빌딩을 선정한 배경에는 당분간 이 사업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 3대 에너지신산업 모델 주력

친환경에너지타운은 2014년 강원도 홍천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현재 19곳으로 확대됐다. 최근에는 폴란드, 에티오피아 등 해외진출로 이어지고 있다.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사회적 기피지역을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탈바꿈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2월 준공된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의 경우 바이오가스를 정제해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태양광 발전을 도입해 연간 1억9000만원의 수익을 거두고 있다.

에너지자립섬은 도서지역의 디젤발전기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사업이다.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와 ESS를 결합해 섬 지역에 친환경에너지를 공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수출까지 추진하겠다는 것이 산업부 계획이다.

2011년 제주 가파도, 전남 가사도를 대상으로 실증을 마쳤고, 현재는 울릉도를 비롯해 덕적도, 조도, 거문도, 삽시도, 추자도 등 6곳에서 사업이 계획됐다. 이와 별개로 충남 죽도는 태양광과 풍력을 활용해 섬 내 사용전력 100%를 충당할 계획이다. 70여명 밖에 살지 않는 작은 섬이지만 연간 발전연료비 약 8000만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을 위해 산업부는 도서지역의 신재생 민간발전을 허용하고, 도서지역 신재생에 대해 신재생공급인증서(REC)를 부여하는 등 관련 지원제도를 정비했다.

제로에너지빌딩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90% 이상 감축)한 건물을 일컫는다. 현재 서울 노원구 등에서 121가구를 대상으로 실증단지 사업을 진행 하고 있고,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사업화, 저층형·고층형·타운형 빌딩 시범사업 등을 통해 제로에너지빌딩을 확대하고 있다.

산업부는 공공기관 신축건물 적용 의무화, 인증제도 도입 등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2020년까지 공공부문, 2025년까지 주거, 2030년까지 비주거 건물까지 제로에너지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우태희 차관, 민간투자 확대 재차 강조

하지만 이번 간담회를 두고 정부의 조급함이 엿보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정부가 에너지신산업 확대를 위해 전기차, ESS, 에너지프로슈머, 태양광 대여 등 다양한 사업모델을 제시했지만 민간 투자는 좀처럼 확대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우태희 산업부 차관은 “3대 에너지신산업 모델 외에도 다양한 사업모델의 확산이 필요하다”며 “민간투자 확대와 해외진출을 통해 에너지신산업의 저변을 확대해달라”고 강조했다.

최근 정부가 에너지신산업을 확대하기 위해 지원방안과 규제완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기대보다 민간투자가 저조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3대 에너지신산업 모델 외에는 이렇다할 성과가 도출된 사례가 없고 아직 실증단계에 머물고 있다. 심지어 3대 모델 중 하나인 에너지자립섬 역시 지난해 10월 사업을 착수했지만 아직 첫삽도 뜨지 못한채 지연되고 있다. 가장 규모가 큰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사업의 경우 애초에 계획한 사업규모보다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