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4년 후인 2030년. 화석연료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이 가능할까.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대체할 수 있을까.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장밋빛 전망을 할 때 항상 던지는 질문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속도의 문제이지, 방향은 맞다는 것.

100%는 아니지만, 소위말해 대세다. 지난 2000년 우리나라 전력산업은 자의반타의반으로 전력산업구조개편을 단행한 후 변화의 몸부림을 쳤지만, 피부로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미미했다. 하지만 최근 2년간의 변화는 지난 2000년 이후 15년의 변화보다 빠르고, 충격적이다. 절대 안 될 것 같은 판매시장 개방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전기자동차는 이제 도로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동안 전력에너지 산업은 소비에 맞게 공급량을 늘리는 공급위주의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이제는 에너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분배할 것인가에 정책과 기술이 맞춰졌다.

이런 분배를 가능케 한 것이‘전력과 ICT’융합 기술이며, 이제는 전통적인 유틸리티 뿐 아니라 ICT기업도 시장에서 전기를 공급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여기에 파리 기후변화협약은 깨끗한 에너지 사용을 강요하고 있다. 깨끗한 에너지, 효율적인 자원분배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것. 에너지신산업이 답이 아닐까.

우리나라의 에너지신산업은 정부와 공기업 주도다. 정부에서 정책을 수립하면 사업계획에서 투자까지 공기업들이 맡아서 한다. 소위 마중물 역할을 공기업이 하고 있다. 투자비가 많이 드는 만큼, 시장이 성숙할 때 까지 정부가 주도하겠다는 의도다. 이런 신사업모델에 대해선 전문가 마다 의견을 달리한다.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위해선 전력시장 자유화가 먼저라는 볼멘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같은 가격에 같은 품질의 전기혜택을 누려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시장 자유화는 앞선 생각이 아닐까.

공기업들이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며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이상, 마중물이 다 했을 때 이후를 고민해야 한다. 어려운 여건에서 공기업들이 수십조에 달하는 투자를 했는데, 마중물만 소비하고 우물에서 물을 뽑아낼 수 없다면, 사회적 국가적 손실은 막대할 수 있다. 그래서 기업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마땅히 새로운 투자처가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 기업들이 에너지신산업에 과감히 도전장을 내밀면 어떨까.

“임자 해봤어”기업인의 도전 정신을 대표하는 고 정주영 회장의 말 처럼.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