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 석유공·가스공 통합 등도 가능성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해외 자원개발 기능을 통합하는 등의 자원공기업 구조조정안이 나왔다.

19일 산업부가 해외자원개발 개선방향과 자원공기업의 구조조정 방안을 위해 딜로이트 안진 회계법인을 통해 수행한 연구용역에 따르면 석유·가스 자원개발 개편 방안으로 ▲석유 자원개발 기능 민관 이관 ▲석유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 ▲석유공사 자원개발 기능을 가스공사로 이관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통합이 제시됐다.

딜로이트는 현재 석유공사와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 등 자원공기업 3사의 재무건전성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광물자원공사의 부채비율은 무려 6905%에 달할 정도로 부실하다. 석유공사와 가스공사도 각각 453%, 321%로 높다.

반면 자원개발 역량과 사업관리 역량은 글로벌 메이저사들과 비교해 매우 부족하다는 게 딜로이트의 설명이다.

딜로이트는 석유공사의 석유 자원개발 기능을 민관으로 이관할 때의 장점으로 정부 재정부담과 리스크 완화, 한국석유공사의 핵심역량 집중을 꼽았다. 다만, 석유공사가 보유한 자산에 대한 매각금액이 저평가 될 수 있고 석유공사 핵심인력이 민간 기업으로 이전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석유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은 자회사로서 독립적 운영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국제 신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현재의 부실상황 재현이 되고 기존의 비효율성을 단기적으로 해소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석유공사의 자원개발 기능을 가스공사로 이관하는 안에 대해서는 투자자금과 인력의 중복 문제의 해결과 수평·수직 통합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미래 투자부담과 양사가 동반 부실할 수 있다는 점을 장애요인으로 제시했다.

석유공사와 가스공사의 통합과 관련해서는 대형화를 통해 국제적 위상이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상장사로서 민간자본 유치가 용이하고 투자자금과 인력 중복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양사 통합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는 상장사로서 국제신용도가 하락하고 석유공사의 부실 이전으로 양사가 동반 부실의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광물 자원개발의 개편방안으로는 ▲광물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 ▲민간의 광물자원공사 자원개발 사업 참여가 제시됐다.

딜로이트는 광물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에 대해서는 우량자산과 부실자산 간의 고리를 끊을 수 있고 광물자원개발 역량을 지속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시했다.

하지만 현재의 부실상황이 재연될 수 있고 기존의 비효율성을 단기적으로 해소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내다봤다.

광물자원공사 자원개발에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것에 대해서는 수요기업 중심 사업추진으로 사업 안정성과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다만, 기능의 대폭축소로 인해 직원들이 반발할 수 있다는 점을 단점으로 꼽았다.

한편, 정부가 해외자원개발 정책 실패를 에너지 공기업 구조조정으로 덮으려한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석유공사와 광물자원공사, 가스공사 등 자원공기업들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데는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정책이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